728x90 분류 전체보기302 [Spring] getmapping, postmapping 개념과 차이 [Spring] getmapping, postmapping 개념과 차이 1. mapping Annotation이란? 스프링 부트 프로젝트를 하다보면 Controller class를 먼저 만들게 된다. 스프링 프로젝트를 실행시키고 나서 브라우저에 결과값을 한 번 띄워보려면, 메서드 위에 어노테이션을 붙이게 된다. @Controller @RequestMapping("/home") public Controller{ @ResponseBody public String showTest(){ retrun "hi" } } 처음 볼 때는 이 어노테이션이 무엇에 쓰이는 지, 어떤 상황에 쓰이는 지 잘 감이 안 온다. 컨트롤러...? 리퀘스트맵핑....? 리스폰스바디...? 그럼 System.out.println()을 하면.. 2022. 8. 16. [Project 1] 첫 프로젝트 EatTwoGetter 초기 구현 [Project 1] 첫 프로젝트 EatTwoGetter 초기 구현 8월 초부터 첫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내 아이디어는 선정이 되지 못했지만, 마음에 드는 아이디어를 선택해서 팀이 만들어졌다. 프로젝트의 핵심 아이디어는 '배달요금 절약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이다. 근거리에 사는 사람들이 배달 요금으로 인해 먹고 싶은 음식을 시키지 않고 지갑을 닫는 부분을 해결하는 것이 프로젝트의 주요 목표이다. 1. 프로젝트의 목표 이 목표를 달성하는 과정에서 얻어지는 효과로는 소비자 소비 심리 진작과 지역 경제 활성화, 그리고 지역 커뮤니티의 활성화가 있을 것이다. 경제적인 것뿐만 아니라, 사회 자본이라고 할 수 있는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를 통해 사람들의 1인 가구의 증가, 스마트폰 컨텐츠의 발달로 사라져가는 지역 .. 2022. 8. 15. [Bootstrap] 카카오맵 활용한 홈페이지 만들기 (1) [Bootstrap] 카카오맵 활용한 홈페이지 만들기 (1) 1. 프론트 삽질 첫 번째 귀여운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현재 나는 카카오맵 API를 가지고 여러 기능들을 추가하고, 하나의 홈페이지로 구현을 해보는 것을 진행하고 있다. 현재 백엔드 과정을 진행 중이지만, html, css, js, jquery만 며칠 동안 봐서 어질어질하다. 그렇지만, 기본적인 것은 할 줄 알면 좋은 법. 익혀나가고 있다. 그냥 템플릿을 사용하지 않고 만들다가 정말 모니터를 부술뻔 했다. 컴퓨터는 아무 잘못이 없지만, 내가 준비한 카카오맵 API 구현 코드와 부트스트랩을 적용한 UI가 충돌하고, 내가 준비한 카카오맵 코드도 기능을 추가하다 보니 엉켜서 엉망진창이 되어 버렸다. 구현한 코드 중 일부는 아래와 같다. 여기에서 .. 2022. 8. 11. [Java] 불변 객체(Immutable Object) [Java] 불변 객체(Immutable Object) 개발자인 우리는 불변이라고 하면 final이 먼저 생각날 것이다. 자바의 final은 한 번만 할당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고 있을 것이다. 재할당을 하려고 하면 컴파일 오류가 당연히 생길 것이다. 이것은 변하면 안 되는 변수, 메서드, 클래스에 예약어로 붙어서 우리가 코드를 구현할 때 실수하지 않게, 로직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1. 불변 객체(Immutable Object)란? 그렇다면 이번 포스팅에서 설명할 불변 객체는 무엇일까?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서는 반대 개념이 있는지를 먼저 살펴보는 것도 좋다. 그렇다고 하면, '가변 객체'가 있는 지를 짧게 생각해보자. 우리는 클래스를 만들기도 하고, 만들어져있는 클래스를 가져와서 객체로 만들기.. 2022. 8. 7. [Database] 물리적 데이터 모델링(Physical Data Modeling) [Database] 물리적 데이터 모델링(Physical Data Modeling) 실제 프로젝트에서는 물리적 데이터 모델링을 수행하는 경우는 드물다고 한다. 개념적인 부분에서 배경지식을 얻기 위해, 나중에 읽어볼 만한 글을 개인적으로 남기기 위해 본 포스팅을 진행한다. 아래의 글은 발췌한 글로 약간의 수정을 가하였다. 이 다음에는 정규화와 역정규화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물리적 데이터 모델링이란. 물리 데이터 모델이란 논리적 모델을 특정 데이터베이스로 설계함으로써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물리적인 스키마를 말한다. 데이터 모델의 엔터티와 서브타입은 논리적인 집합이며, 만약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로 설계한다면 이 단계에 와서 물리적인 테이블(Table)로 확정된다. 하나의 논리적 집합(엔터티 혹은 .. 2022. 8. 6. [Database] 논리적 데이터 모델링(Logical Data Modeling) [Database] 논리적 데이터 모델링(Logical Data Modeling) 개념적 모델링 이후 이루어지는 단계이다. 개념적 모델링의 개념은 아래에 포스팅 되어 있다. 2022.07.29 - [IT 지식/Database] - [Database]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Conceptual Data Modeling) [Database]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Conceptual Data Modeling) [Database]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Conceptual Data Modeling) 1. 데이터 모델링이란? 앞의 글에서 예시를 든 치킨집 예시를 다시 살펴보자. 2022.07.27 - [IT 지식/Database] - [Database] 개발 세계에서 데.. masterpiece-programming.. 2022. 8. 5. 이전 1 ··· 19 20 21 22 23 24 25 ··· 51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