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분류 전체보기302

[Database] 개발 세계에서 데이터베이스란 무엇일까? [Database] 개발 세계에서 데이터베이스란 무엇일까? 많은 사람들은 자기가 경험하지 못한, 잘 알지 못하는 새로운 것을 볼 때, "저게 뭐야?" "이건 또 뭐야?" 의문을 가진다. (돌고래도 호기심 많은 동물 중에 하나라고 한다.) 어떤 개념이나 기술을 배울 때, 우리는 그것에 대한 추상적인 정의를 이해하고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그것이 무엇에 쓰이는 것인지, 어떤 것과 비슷한 것인지, 어떤 형태를 하고 있는지, 즉, 용도와 개념 비유, 물리적 외형을 알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데이터베이스를 처음 배우는 사람이라고 한다면, DB가 무엇에 쓰이는 지, 무엇과 비슷한지, 어떤 형태를 하고 있는지는 알고 있어야 그다음의 깊은 개념인 논리적 데이터 모델링, 관계형 DB, ... 등등을 이해할 수 있.. 2022. 7. 27.
[Spring] Servlet과 Spring [Spring] Servlet과 Spring 1. 서블릿이란? 서버 어플리케이션 조각 -> Server Application Let -> Servlet 처음 웹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정적인 페이지로만 응답할 수 있었다. 웹 서버에 동적인 프로그램을 붙여서 페이지를 보여주는 것이 서블릿 방식이다. 1) 서블릿이 생겨난 이유 http 요청과 응답은 다음과 같다. //request GET /api/products HTTP/1.1 Content-Type: application/json User-Agent: PostmanRuntime/7.28.0 Accept: */* Postman-Token: abfcbcf8-9317-430c-86b9-c00020eb736e Host: localhost:8080 Acce.. 2022. 7. 27.
[Java] 내부 클래스와 익명 클래스 그리고 람다 [Java] 내부 클래스(Inner Class)와 익명 클래스(Anonymous class) 그리고 람다(Lambda) 1. 들어가며, 내부 클래스는 왜 필요한가? 하나의 클래스 안에서만 쓰이는 객체를 생성하고 싶을 때가 있다. 혼자 개발을 한다면 다른 곳에 구현을 한 번 하고 다른 클래스에서는 구현을 안하는 방법으로 사용하면 된다. 그렇지만, 2명, 3명, ... 100명이 개발을 같이 한다면...? 주석을 꼼꼼히 남기지 않는 한 그것을 다른 곳에서 구현하는 사람이 나타날 것이다. 그래서 단발적으로 사용하고, 확장할 필요가 없는 객체를 구현해야 할 때 내부클래스를 사용한다. 클래스의 메서드 안에서 구현을 하고 끝내는 내부클래스가 생겨난 것이다. 사용 이유 정리 1. 프로그램 안에서 일시적(단발적)으로 .. 2022. 7. 26.
[Spring] MVC Pattern [Spring] MVC Pattern 1. MVC란? 기초적인 동적 웹은 php 파일과 같이 한 형태의 파일 안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고, html을 구현하고 css를 구현하고 해서 나타낼 수가 있다. 하지만, 간단한 게시판 정도가 아니라 거대한 Naver, Daum과 같은 페이지를 관리해야 한다면? 요소와 기능들이 많아지고 구조가 이것저것 얽히면서 하나의 파일 안에 든 코드들이 난잡하게 되어 버린다. 거대해지고 복잡해질 때는 분리, 모듈화를 해주어야 한다. 하나의 모듈이 하나의 일을 하고 그것들이 합쳐져서 전체적 서비스로 보이게 해야 하는 것이다. 국가의 기능은 입법, 사법, 행정으로 나뉘듯이, 웹 사이트에서는 기능을 "Model, View, Controller"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Sprin.. 2022. 7. 26.
[Web] Web Request, Response(웹의 요청과 응답) [Web] Web Request, Response(웹의 요청과 응답) 웹이라는 단어는 인터넷을 사용하는 우리에게는 참 친숙한 단어이다. 웹 사이트, 웹 서버.... 그렇지만, 정확하게 웹이라는 단어의 의미와 뜻을 알고 있는가에 대해 반성을 해볼 필요가 있다. 웹(World Wide Web, WWW)은 인터넷을 지칭하는 개념이 아니다. 하위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컴퓨터와 컴퓨터를 연결하는 기술이 인터넷 기술이고, 웹은 그 인터넷 위에서 동작하는 서비스 중에 하나이다. 인터넷이라는 네트워크 인프라 위에서 동작하는 것이 웹 1. 웹의 존재 이유 그럼 웹은 왜 존재하는 것일까? 무엇을 위해 있는 기술일까? 팀 버너스리는 WWW의 창시자이다. 이 사람은 컴퓨터로 어떤 정보를 공유하고 싶은 마음이 있었다. 그렇.. 2022. 7. 25.
[Spring] Observer Pattern [Spring] Observer Pattern 한 없이 유약한 공격력 0의 유닛이다. 그렇지만 프로토스에게 중반 이후 클로킹을 쓰는 유닛에 대처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생산해야 하는 유닛이다. 옵저버는 관찰자이다. 공격을 하지 않고 들키면 뚜드려 맞아야 하고, 가려진 맵과 클로킹 된 유닛을 보여주기만 한다. 그렇다면 옵저버 패턴은 무엇일까? 옵서버 패턴(observer pattern)은 객체의 상태 변화를 관찰하는 관찰자들, 즉 옵저버들의 목록을 객체에 등록하여 상태 변화가 있을 때마다 메서드 등을 통해 객체가 직접 목록의 각 옵저버에게 통지하도록 하는 디자인 패턴이다. 주로 분산 이벤트 핸들링 시스템을 구현하는 데 사용된다. 발행/구독 모델로 알려져 있기도 하다. Observer Pattern도 옵저버와 .. 2022. 7. 24.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