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분류 전체보기302 [Javascript] 로컬 스토리지 사용 방법 [Javascript] 로컬 스토리지 사용 방법 1. 로컬 스토리지란? 자바 스크립트 메서드나 변수를 사용할 때, 새로 고침을 해도 그 값을 계속 저장해놓고 사용하고 싶을 때가 있다. 예를 들면, 카카오맵을 웹에서 사용하면, 드래그를 하면서 지도를 이동시키는데, 한 번 이동했던 장소를 새로고침 하거나 다른 페이지를 갔다 와도 원래 보았던 위치를 계속 보고 싶을 때를 들 수 있겠다. 자바스크립트는 브라우저를 새로고침 할 때마다 계속 새롭게 불러와지고, 변수도 초기화될 수밖에 없다. 그렇기 때문에 어딘가에 변수를 저장하고 싶다면, 로컬 스토리지를 활용하면 된다. 나는 지금 현재 프로젝트에서 로컬 스토리지를 활용하여 경도, 위도 값을 로컬 스토리지에 저장하고, 창을 닫으면 그 값을 지우는 방법으로 브라우저에게.. 2022. 9. 6. [Web] 8080 포트 중복 연결 에러 해결 방법 [Web] 8080 포트 중복 연결 에러 해결 방법 Web server failed to start. Port 8080 was already in use. 거창한 에러는 아니다. 기존에 사용하던 포트가 사용 중이기 때문에 일어나는 에러이다. 터미널을 켜고 몇 가지의 명령어만 쳐주면 해결된다. 기존 프로젝트의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포트가 사용중이기 때문에 뜬다. 프로젝트 실행을 해도 계속 실행이 유지가 안 되고 꺼질 것이다. 1. 일단 포트를 쓰고 있는 프로세스를 확인해본다. sudo lsof -i :8080 이 명령어를 치면 특정 포트를 사용하는 프로세스의 PID를 알 수있다. sudo : Super User Do의 약어 lsof : list open files의 약어 -i : TCP 네트워크로 열린 파일.. 2022. 9. 4. [Web] 쿠키, 세션 자세히 알아보기, 구현하기 [Web] 쿠키, 세션 자세히 알아보기, 구현하기 스프링 시큐리티를 활용해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웹 서버 수업을 들으면서 최초의 로그인 기능을 알아보는 수업을 듣는 중이다. 예전에 교양 수준 정도로 쿠키와 세션을 정리해본 적은 있지만, 그때 당시에는 웹 서버가 무엇인지, 심지어 프로젝트 파일이 무엇인지도 자세히 몰랐기 때문에 그 '개념'과 비유적 표현 정도를 이해하는 정도였다. 이제는 실전에서 쿠키와 세션을 활용할 수 있을 정도로 파악해야 할 때가 왔다. 이전에 포스팅 한 것은 다음과 같다. 2022.07.02 - [IT 지식/Web] - [Web] 쿠키(cookie), 세션(session) 캐시(cache)의 정의 [Web] 쿠키(cookie), 세션(session) 캐시(cache)의 정의 [Web.. 2022. 9. 3. 개발자 이력서 쓰는 방법(워니님 특강) 개발자 이력서 쓰는 방법(워니님 특강) 9월 1일(목), 멋사에서 이력서 특강이 있었다. 흔히 쓰는 자기소개서 문항을 어떻게 작성하느냐가 아닌, 내 소개를 하는 이력서를 어떻게 쓰는지, 꼭 있어야 하는 항목은 무엇인지 등을 자세히 들어볼 수 있었다. 강사님은 워니님이었다. 평소에 개발 관련된 유튜브를 보다 보면 자주 나오시는 분이어서 잘 알고 있었다. 많은 부분에서 도움을 받았고 처음 개발을 접할 때 도움을 받았던 부분이 많았어서 기대가 되었다. 아래에서는 이력서 항목을 어떻게 잘 채워나갈 수 있는지, 어떤 것들을 써야 하는 지를 간략하게 내가 이해한 것들을 간략히 정리해보려고 한다. 1. 이력서 제목 짓기 이력서 상단에 보면 ~~~ 하는 개발자 000 입니다. 이런 제목이 있는 이력서들이 있다. 과연 .. 2022. 9. 2. [스터디] AOP의 정의와 활용 [스터디] AOP의 정의와 활용 스프링의 기본 원리를 이제까지 알아보았는데, 마무리 과정에 이르렀다. AOP(Aspect-Oriented Programming)이 남았다. AOP는 스프링의 프로그래밍 모델 중 하나이다. 번역을 하면 관점 지향 프로그래밍이라고 할 수 있다. 관점이라는 말 보다는 실제 AOP가 왜 사용되는지,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알아가다 보면 이것이 어떤 모델인지를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1. AOP를 사용하는 이유(WHY) 스프링 프로젝트에 관심이 있다면, 누구든 이 에피소드는 한 번은 들어봤을 것이다. A 팀장 : B님 프로젝트 관련해서 해줘야 할 일이 있을 것 같은데... 간단한 거거든요? B 신입 : 네! 뭐든 말만해주세요(의욕 과다)! A 팀장 : 그래요. 우리 프로그램 성능 측.. 2022. 9. 1. [스터디] 스프링 삼각형과 설정 정보 1) [스터디] 스프링 삼각형과 설정 정보 ~ 1)편. IoC/DI - 제어의 역전 / 의존성 주입 객체 지향의 기본 원리를 4주에 걸쳐 알아보았다. 이제 실제로 그것이 쓰이는 것을 직접 눈으로 확인할 차례이다. 그렇지만, 그 전에도 스프링이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어떤 개념이 토대가 되어 스프링이 작동하는 것인지는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 어떻게 돌아가는지도 모르면서 원숭이 마냥 코드를 부르는 대로 자판에 찍는 것이 아니라면, 내가 어떤 일을 하고 있는지, 무엇을 해야 하는지, 도구의 특징 중 어떤 것을 활용해서 최대의 효율을 낼 수 있는지 등을 알아야 하지 않을까? 그중에 첫 번째로 중요한 것이 '의존성 주입'이다. DI라고도 한다. 지금 읽고 있는 챕터에서 소개하고 있는 것을 크게 나누어.. 2022. 8. 17. 이전 1 ··· 18 19 20 21 22 23 24 ··· 51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