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알고리즘29

새로운 것을 받아들인다는 것은... 새로운 것을 받아들인다는 것은... 익숙하지 않은 그림이다. 우리는 익숙한 대상을 가지고 낯설게 바라볼 수 있다. 이렇게 우리는 때때로 익숙하지 않은 새로운 무엇인가를 만난다. 새로운 사람, 장소, 업무 분야, 학습 분야, 취미, 도구와 같은 것들. 심지어 익숙했던 대상에 대해 새로움을 느끼기도 한다. 갑자기 머리를 싹둑 자른 연인, 군대를 다녀오고 나서 무엇인가 변한 친구, 단골 맛집에서 새로운 메뉴에서 느껴지는 맛과 같은 것들 말이다. 새로운 것 속에서 해방과 긴장을 동시에 느낀다. 새로움을 마주할 때, 기존의 삶의 경계에서 한 발 짝 더 나아갔다는 해방감을 가짐과 동시에 무엇인지 모르기에 조심스러운 긴장감을 함께 가진다. 이렇게 삶의 외연의 확장을 통해서 기존의 루틴에서 가졌던 권태를 극복하기도 하.. 2022. 6. 24.
[Algorithm] 1. 시간 복잡도, 공간 복잡도 [Algorithm] 1. 시간 복잡도, 공간 복잡도 1. 복잡도란? 더보기 알고리즘의 성능을 나타내는 척도 얼마나 복잡한지를 의미한다. 높아질 수록 좋지는 않은 것이다. 알고리즘은 컴퓨터 속에서 돌아간다. 그렇기 때문에 얼마나 더 오래 걸리느냐, 얼마나 더 큰 용량을 차지하느냐로 복잡도를 계산한다. 이를 각각 시간 복잡도, 공간 복잡도라고 한다. 시간 복잡도와 공간 복잡도는 일종의 거래 관계에 있다. 마치 역세권을 희망하면 월세가 높아지고, 월세를 낮추려면 역세권을 포기해야 하는 것처럼 메모리를 더 사용하는 대신 시간을 줄일 수도 있고 시간을 더 쓰는 대신 메모리 용량을 작게 사용할 수 있다. 이 계산은 우리가 유한한 성능을 가진 컴퓨터와 기기들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효율적이고 더 빠르고, 더 경제적.. 2022. 4. 27.
[백준] 10816 숫자 카드 2 python 알고리즘 문제 문제 10816. 숫자 카드 2 1. 나의 코드와 발상 과정 (1) 제출 답안 from bisect import bisect_left, bisect_right import sys n = int(input()) num_list = list(map(int, sys.stdin.readline().split())) m = int(input()) find_list = list(map(int, sys.stdin.readline().split())) num_list.sort() def count_by_range(array, left, right): right_index = bisect_right(array, right) left_index = bisect_left(array, left) return right_ind.. 2022. 4. 25.
[백준] 1920 수 찾기 python 알고리즘 문제 문제 1920. 수 찾기 1. 나의 코드와 발상 과정 import sys n = int(input()) num_list = list(map(int, sys.stdin.readline().split())) m = int(input()) find_list = list(map(int, sys.stdin.readline().split())) num_list.sort() def count_by_range(array, target, start, end): if start > end: return 0 mid = (start + end) // 2 if array[mid] == target: return 1 elif array[mid] > target: return(count_by_range(array, target, .. 2022. 4. 25.
[백준] 1978 소수 찾기 python 알고리즘 문제 문제 1978. 소수 찾기 1. 나의 코드와 발상 과정 ## 오답 n = int(input()) num_list = list(map(int, input().split())) ans = 0 for i in range(n): a = num_list[i] if a == 2 or a == 3 or a == 5 or a == 7: ans += 1 elif a == 1 or a % 2 == 0 or a % 3 == 0 or a % 5 == 0 or a % 7 == 0: continue else: ans += 1 print(ans) 1은 소수가 아니다. 소수는 1과 자기자신만을 약수로 가지는 수이다. 그렇다면 소수가 아닌 수에 공통적으로 들어가 있는 소수는 무엇일까? 아 2, 3, 5, 7이 있지 않을까. 그러면 2.. 2022. 4. 25.
[백준] 4949 균형잡힌 세상 python 알고리즘 문제 문제 4949. 균형잡힌 세상 1. 나의 코드와 발상 과정 import sys answer_list = [] while True: a = sys.stdin.readline().rstrip() if a == '.': break answer = [] for i in a: if i.isalpha() or i == " ": continue elif i == '.': break elif i == '(': answer.append(i) elif i == '[': answer.append(i) elif i == ')': if len(answer) != 0 and answer[-1] == '(': answer.pop() else: answer.append(')') continue elif i == ']': if len.. 2022. 4. 25.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