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Web75 [Web] DNS가 뭘까? 도메인, A Record, CName [Web] DNS가 뭘까? 도메인, A Record, CName (Domain Name System) www.naver.com naver.com이 도메인이다. www는 호스트네임이라고 한다. 호스트 네임은 mail, blog 등 다양하게 있을 수 있다. 도메인은 IP 주소를 쉽게 활용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네임 태그와 같은 것이다. 도메인과 IP 주소는 매칭되어서 숫자로 어딘가로 전송이 된다. 그렇다면, 특정 IP - 특정 도메인 쌍이 어딘가에 데이터로 저장이 되어야 브라우저에 도메인으로 쓸 때 IP로 변환이 되어서 서버에 연결될 것이 아닌가? 그 쌍은 어디에 저장되어 있는가? 바로 DNS에 저장되어 있다. system이라는 말을 자세히 생각해보면, 어디 한 군데에 모두 저장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분산 저.. 2022. 6. 24. [Web] 서버란 무엇인가? 서버란 무엇인가? ‘서버 점검 중입니다.’ 서버도 하나의 컴퓨터이다. 서버는 ‘역할’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한 컴퓨터가 다른 컴퓨터와 내 컴퓨터를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면 서버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아니면, 어떤 컴퓨터에서 어떤 정보를 나(클라이언트)에게 내려주면 서버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클라이언트 - 서버 - 클라이언트의 구조가 된다. 서버도 클라이언트가 될 수도 있다. 다른 서버에서 정보를 가져온다면, 정보를 가져오는 서버의 경우, 클라이언트가 될 수도 있다. 내 컴퓨터도 서버로 만들수 있다. 예를 들면 P2P 서비스. 내 컴퓨터가 서버처럼 되어서 다른 사람에게 특정 파일을 전송해주게 된다. AWS와 같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용하면 더 쉽게 내 컴퓨터를 서버화 할 수 있다. 2022. 6. 24. [HTML/CSS] 노멀라이즈(normalize) [HTML/CSS] 노멀라이즈(normalize) : 브라우저 간 유저 에이전트 스타일의 오차를 줄이고 HTML 요소의 기본 스타일을 브라우저 별이 아닌 공통으로 일관되게 유지하도록 돕는 CSS 파일이다. 버그만 줄이는 방향으로 스타일을 재지정하는 것. body에는 기본 css가 설정되어 있다. body에는 기본 css가 설정되어 있다. 마진, 패딩의 기본값은 0으로 들어가있으며, width 등이 auto로 설정되어 있다. 태그 별로 문서 시작 전에 노멀라이즈를 해주는 것이 좋다. 공통적으로 그 태그의 형식을 지정해주면 브라우저 별로 다르지 않게 형태가 나올 수 있으니 해주는 것이 좋다. 노멀라이즈 시 CSS 값 설정시 유의할 하나의 정보(노멀라이즈 내용은 아님) ++ auto와 직접 값 설정의 차이점 .. 2022. 6. 23. [CSS] 가상선택자, 에밋(emmet) [CSS] 가상선택자, 에밋(emmet) 1. 가상 선택자(가상 클래스 or 추상 클래스) 선택자 뒤에 ':가상이벤트'를 붙이면 특정 이벤트마다 적용 할 스타일을 설정 할 수 있으며, 이를 가상 (추상)클래스라 한다. 가상 선택자를 쓰면 CSS와 HTML의 코드의 양을 줄이며 가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nav > div:nth-child(N){ color: red; } 이렇게 있다고 하면, css는 nav의 N번째 자식만 골라서 효과를 주는 것이다. 만약 N의 자리에 1을 넣는다면, 첫번째 div 엘리먼트만 폰트 색깔이 빨간색으로 바뀐다. 가장 필수적으로 알아야 하는 요소 :nth-child(N) = 부모안에 모든 요소 중 N번째 요소 A:nth-of-type(N) = 부모 안에 A라는 요.. 2022. 6. 23. [HTML] 태그와 엘리먼트의 차이 [HTML] 태그와 엘리먼트의 차이 한 줄 요약 : 태그는 '' 하나를 의미하고 엘리먼트는 즉 태그 쌍을 의미한다. 1. 태그(tag) 다음과 같이 생긴것을 태그라고 한다. 즉""로 묶인 일련의 명령어이다. 태그에는 세 가지 종류가 있다. 시작태그 : 종료태그 : 빈태그 : , , 등 태그의 구성 시작태그는 "속성(attribute)"과 "값(value)"을 가질 수 있다. 위에서 시작태그는 속성과 값을 가지고 있는데 "href"는 속성이라고 하며 "https://masterpiece-programming.tistory.com/"를 값이라고 한다. 2. 엘리먼트(element) 다음과 같이 생긴것들을 엘리먼트라고 한다. 내용이다. 즉 내용을 포함해 시작태그와 종료태그까지를 엘리먼트라고 합니다. 또 이런것.. 2022. 6. 22. [HTML/CSS] display 속성 알아보기 [HTML/CSS] display 속성 알아보기 display 종류 정리 종류 inline-block, inline block none 너비 너비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면, 최소한으로 줄어든다. 너비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면, 최대한으로 넓어진다. 없어진다. 높이 높이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면, 최소한으로 줄어든다. 높이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면, 최소한으로 줄어든다. 없어진다. 본질 글자화 블록화 - line 사용 한 줄에 최대한 여러개가 나온다. 한 줄을 무조건 혼자 쓴다. - 정렬 부모의 text-align에 의해서 정렬 스스로 margin-left, margin-right를 사용해서 정렬 - 대표되는 태그 img(inline-block 종류) a, span(블록 아닌 inline 종류) div, nav(.. 2022. 6. 22. 이전 1 ··· 6 7 8 9 10 11 12 13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