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Web75 [Web] 암호화 해시함수에 대한 이해 [Web] 암호화 해시함수에 대한 이해 이전에 해시 테이블 포스팅에서 해시 함수에 대해 다루어 본 적이 있다. 2022.05.15 - [프로그래밍/자료구조] - [자료구조] hash table(해시 테이블) python class 구현하기 [자료구조] hash table(해시 테이블) python class 구현하기 [자료구조] hash table(해시 테이블) python class 구현하기 살펴볼 주요 개념: 더보기 - 해시 테이블의 개념, 특징, 용도 - 해시 함수 - 해시 충돌 회피 - 해시 테이블 클래스 구현(python) 1. 해시 테이. masterpiece-programming.tistory.com 해시는 자료구조에만 쓰이는 것이 아니라, 보안이 필요한 통신에서도 사용이 된다. 해시 함수는.. 2022. 7. 2. [Web] 쿠키(cookie), 세션(session) 캐시(cache)의 정의 [Web] 쿠키(cookie), 세션(session) 캐시(cache)의 정의 2022.07.01 - [IT 지식/Web] - [Web] HTTPS와 HTTP의 차이 이전 글에서 HTTP는 stateless 하다는 이야기를 했다. 이전에 접속한 것과는 별도로 HTTP가 통신을 한다는 이야기였는데, 일반적으로 홈페이지 안에서는 매번 페이지가 바뀔 때마다 로그인을 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또한 장바구니에 담아놓은 상품들이 없어지고 하는 등의 불편을 겪을 수 있다. 그래서 쿠기와 세션, 캐시가 사용되는 것이다. 1. 쿠키(cookie) 사용자의 브라우저에 저장되고, 통신할 때 HTTP 헤더에 포함되는 텍스트 파일이다. 이름, 값 만료기간, 경로 정보가 있고 키와 벨류로 구성이 되어 있다. 사용자의 컴퓨터를 사.. 2022. 7. 2. [Web] HTTPS와 HTTP의 차이 [Web] HTTPS와 HTTP의 차이 ✏️ HTTPS란 무엇인가?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HTTP에 S, 즉 데이터 암호화가 추가된 프로토콜이다. HTTPS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전신인 HTTP를 설명하지 않을 수가 없다. HTTP는 클라이언트(사용자)가 요청(request)을 서버에 보내면 서버는 HTTP 응답(response)을 해주는 구조에서 작동한다. 그리고 stateless 한데, state(상태)를 저장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바늘로 찌르면 그 부분의 몸이 움찔할 뿐, 다른 부분을 움찔하지는 않는 것 처럼, 어떤 요청이 오면 어떤 요청에만 응답을 하고, 다른 응답과는 연관되어있지 않다는 이야기이다. 이 때문에 클라이언트가 요청을 보내고 응답을 받은 후.. 2022. 7. 1. [Java] Error와 Exception, 예외 처리 [Java] Error와 Exception, 예외 처리 에러는 숙명, 예외는 운명 초보 개발자에게 누군가는 이렇게 이야기를 한다. 숙명은 static한 것, 운명은 dynamic 한 것이다. 어떠한 것을 집어넣는다고 해도, 숙명은 바뀌지 않고, 운명은 내가 어떤 변수와 로직을 넣느냐에 따라 좌지우지 할 수 있다. 오류는 시스템이 종료되어야 할 수준의 상황과 같이 수습할 수 없는 심각한 문제를 의미한다. 개발자가 예측하여 방치할 수 없는 것이다. 위의 블루스크린도 그와 같다. 반면 예외는 개발자가 구현한 로직에서 발생한 것이거나 사용자가 이렇게 사용할 것이라고 생각 못하고 개발해놓은 것에서 발생된다. 개발자가 미리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상황에 맞게 예외 '처리'를 해주어야 한다. 1. 예외 클래스의 계.. 2022. 6. 29. [Java] 인터페이스의 다형성 [Java] 인터페이스의 다형성 인터페이스를 만들어놓고 클래스를 만들 때, 원래 설정해놓은 함수와는 다른 매개변수를 주고 싶다면...? 원래 2개를 설정할 수 있게 인터페이스에 써놓았는데, 매개변수를 3개 설정하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할까? 메소드를 그대로 물려받았기 때문에, 원래 함수를 구현하지 않고도 오버로딩이 가능할까? 라는 생각에 이번 포스팅을 진행하게 되었다. 긴 이야기 필요없이 바로 인터페이스를 만들어보고 인터페이스를 implements한 클래스를 만들어보겠다. 1) 인터페이스 package exercise; public interface Calculate { int sum(int v1, int v2); } Calcutate라는 인터페이스를 만들었고, 그 안에는 sum()이라는 함수가 들어있다... 2022. 6. 28. [Java] 자바의 메모리 사용 구조 [Java] 자바의 클래스와 메모리 사용 구조 자바는 메모리를 관리해준다. Garbage Collector가 개발자가 만들어놓고 사용하지 않는 객체들을 수거하고 stack은 변수가 들어왔다 나갔다 하면서 stackoverflow가 일어나지 않게 만들어준다. 그렇지만, 내가 만든 변수가 어디에 저장되고 어떤 식으로 동작을 하는지는 알아야 한다. 그래야 컴퓨터의 성능을 최대한 활용하는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으니까. 이번 포스팅에서는 아래와 같은 클래스와 변수들이 존재할 때, 자바는 메모리를 어떻게 사용하는 지를 알아본다. 상속, 다형성의 개념도 함께 다룰 것이기 때문에, 상속 또는 다형성이 잘 이해가 되지 않는다면, 아래의 이전 글을 참조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2022.06.13 - [프로그래밍 언어/J.. 2022. 6. 27. 이전 1 ··· 4 5 6 7 8 9 10 ··· 13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