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Web75

[Java] 상속 inheritance 을 활용한 정보관리 시스템 만들기 [Java] 상속 inheritance 을 활용한 정보관리 시스템 만들기 상속은 객체 지향에서 중요한 개념이다. 매번 클래스에 같은 내용을 넣지 않고, 기존의 클래스에 추가하고 싶은 내용이 있는데, 각기 다른 특성을 가질 경우 예를 들어 S클래스라는 자동차의 외관 설계를 하는 클래스가 있다고 치자. 외관은 공통인데 엔진이 다를 수 있지 않은가. 디젤 엔진을 가진 S클래스와 가솔린 엔진을 가진 S클래스를 각각 만들고 싶다면, 디젤 S클래스 extends S클래스 가솔린 S클래스 extends S클래스 해서 엔진 부분만 각각 바꾸어 주면 된다. 이렇게 해서 얻는 이득은, 각각의 디젤 S클래스, 가솔린 S클래스의 내부 코드에서 S클래스의 외관 설계를 하는 코드가 들어가지 않아도 된다는 코드 작성의 효율성과 외.. 2022. 6. 13.
[Java] 클래스 변수와 인스턴스 변수의 차이 [Java] 클래스 변수와 인스턴스 변수의 차이 객체 지향에서 가장 중요한 클래스와 상속. 클래스는 정말 기본 중에 기본이다. 상속에서 클래스를 비유해보았는데 참고하면 좋을 것이다. 2022.06.13 - [프로그래밍 언어/Java] - [Java] 상속 inheritance 을 활용한 정보관리 시스템 만들기 [Java] 상속 inheritance 을 활용한 정보관리 시스템 만들기 [Java] 상속 inheritance 을 활용한 정보관리 시스템 만들기 상속은 객체 지향에서 중요한 개념이다. 매번 클래스에 같은 내용을 넣지 않고, 기존의 클래스에 추가하고 싶은 내용이 있는데, 각기 다른 masterpiece-programming.tistory.com 클래스를 여러 개 쓰면서 전국의 아빠들이 만드는 다 때.. 2022. 6. 13.
[Java] Java 자바 final [Java] Java 자바 final 자바에서 final 키워드는 여러 컨텍스트에서 단 한 번만 할당될 수 있는 entity를 정의할 때 사용된다. 메모리에 한 번 할당되면 변경할 수 없다. 즉, int 타입의 경우 상수처럼 활용되고, 메소드에서 final을 쓸 경우, 그 메소드가 들어있는 클래스를 다른 클래스에서 상속했다면, 다른 클래스에서 그 메소드를 오버라이딩해서 쓸 수 없다. final을 쓰면 뭐든 간에 다른 곳에서는 '변경'할 수 없다. final은 아래와 같이 쓸 수 있다. public class Final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number가 상수가 된다. final int number = 10; System.out.println(n.. 2022. 6. 13.
[Java] 배열, 다차원 배열 [Java] 배열, 다차원 배열 파이썬의 리스트, 자바의 배열 무엇이 다른지는 자료구조 학습을 통해 알게 되었다. 배열은 메모리를 할당받아 길이가 정해져있다는 것, 리스트는 각 데이터 마다 노드와 링크로 이어져 길이 제한이 없다는 것. 배열은 길이를 한 번 정하면 바꾸기 어렵다. 새로운 배열을 만들어 그 속에 기존의 데이터를 넣고, 새로 데이터를 추가하는 방법을 써야 한다. 이러한 배열을 다시 자바 식으로 리마인드 해본다. 1. 배열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ArrayMaxValueFind { public static int max(int a, int b) { return (a > b) ? a : b;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2022. 6. 13.
[Java] 원 찍기 [Java] 원 찍기 반복문을 하면서 알게된 원찍기 별찍기는 많이 해봤지만, 원찍기는 해보지 않아서 해보았다. x^2 + y^2 = r^2을 아래의 코드에 구현했다. final static int N = 15;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for (int i = -N; i 2022. 6. 13.
[Java] 반복 함수, 재귀 함수 [Java] 반복 함수, 재귀 함수 반복 또는 재귀 함수는 DP, DFS, BFS 등의 알고리즘에서 흔히 쓰이는 함수이다. 수학적 감각이 약간 필요한 친구라고 할 수 있겠다. 자기 자신을 또 호출하는 재귀함수는 처음에 볼 때는 이해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는데, 누가 호출되고, 언제 그 계산이 되는지를 생각해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이 두 가지 함수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팩토리얼'과 '피보나치'를 구현해보면 된다. 1-(1). 팩토리얼 반복문 사용 // 반복문 활용 public static int factorial(int number) { int sum = 1; for(int i = 2; i < number; i++) { sum *= i; } return sum; 팩토리얼은 n!으로 나타내며, 1부터 n.. 2022. 6. 13.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