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분류 전체보기302 컴퓨터의 기본 메모리 구조(순차접근, 임의접근) 컴퓨터의 기본 메모리 구조(순차접근, 임의접근) 💡 순차접근(sequential access) vs 임의접근(random access) 순차접근 리스트에 접근하는 것처럼 순차적으로 접근을 한다. 1~100번의 주소가 있다면, 1부터 시작해서 읽어나가는 것이다. 하드디스크(Hard Disk Drive)가 순차접근의 방법을 취한다. 임의접근 램의 경우 이름에 걸맞게 임의접근의 방법을 취한다(Random Access Memory). 그렇기 때문에 전원이 꺼지면 데이터가 유실된다. SSD(Solid State Drive)의 경우, 임의접근을 해서 필요한 공간의 데이터를 바로 가져올 수 있다. 그러나 HDD 보다는 덜 안정적이다.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받아올 때 HDD보다 효율이 떨어진다. ++ 디스크 조각모음 요.. 2022. 6. 25. [Web]정적 웹과 동적 웹(static web, dynamic web) [Web]정적 웹과 동적 웹(static web, dynamic web) 정적웹, 동적웹 각각의 개념과 두 가지 방식의 차이를 알아볼 것이다. 정적 웹 : 언제 접속해도 같은 리소스를 건네주는 웹사이트. 서버는 프로그래머가 작성해놓은 파일들을 브라우저에 전달해준다. 자바스크립트를 활용해서 현재 시간 등을 받아와서 실시간의 것을 구현을 해주는 것도 있다. 그렇지만, 정적 웹의 기준은 접속할 때마다 받게 되는 문서들이 항상 같은지를 판단해보면 된다. 회사 홈페이지의 소개글이 정적 웹 중에 하나이다. 동적 웹 MVC 모델인 정적 웹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즉각적인 반응이 가능하다(아이폰 imessage를 전송할 때 화면 깜빡임이 없이 모션이 나타나면서 바로 보내지는 것 처럼) 정적 웹은 사용자의 .. 2022. 6. 24. [Web] DNS가 뭘까? 도메인, A Record, CName [Web] DNS가 뭘까? 도메인, A Record, CName (Domain Name System) www.naver.com naver.com이 도메인이다. www는 호스트네임이라고 한다. 호스트 네임은 mail, blog 등 다양하게 있을 수 있다. 도메인은 IP 주소를 쉽게 활용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네임 태그와 같은 것이다. 도메인과 IP 주소는 매칭되어서 숫자로 어딘가로 전송이 된다. 그렇다면, 특정 IP - 특정 도메인 쌍이 어딘가에 데이터로 저장이 되어야 브라우저에 도메인으로 쓸 때 IP로 변환이 되어서 서버에 연결될 것이 아닌가? 그 쌍은 어디에 저장되어 있는가? 바로 DNS에 저장되어 있다. system이라는 말을 자세히 생각해보면, 어디 한 군데에 모두 저장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분산 저.. 2022. 6. 24. [Web] 서버란 무엇인가? 서버란 무엇인가? ‘서버 점검 중입니다.’ 서버도 하나의 컴퓨터이다. 서버는 ‘역할’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한 컴퓨터가 다른 컴퓨터와 내 컴퓨터를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면 서버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아니면, 어떤 컴퓨터에서 어떤 정보를 나(클라이언트)에게 내려주면 서버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클라이언트 - 서버 - 클라이언트의 구조가 된다. 서버도 클라이언트가 될 수도 있다. 다른 서버에서 정보를 가져온다면, 정보를 가져오는 서버의 경우, 클라이언트가 될 수도 있다. 내 컴퓨터도 서버로 만들수 있다. 예를 들면 P2P 서비스. 내 컴퓨터가 서버처럼 되어서 다른 사람에게 특정 파일을 전송해주게 된다. AWS와 같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용하면 더 쉽게 내 컴퓨터를 서버화 할 수 있다. 2022. 6. 24. [C언어] 사용자 정의 함수, void와 return [C언어] 사용자 정의 함수, void와 return 기본 기능만 주구장창 사용할 것이 아니라면, 사용자 정의 함수를 알아야 한다.그렇게 해야 내가 원하는 대로 코드를 마음대로 가지고 놀고 일부 코드를 가지고 엄청난 계산 괴물을 만들어 낼 수도 있다.아니면 서비스 공룡을 만들어낼 수도 있고. 사용자 정의 함수는 그러기 위해 만들어졌다. '더 간편하고', '복사하기 붙여넣기를 하지 않고', '더 고도의 능력을 구현하기 위해' 아래에서는 C언어에서 사용자 함수를 정의하는 법과 실행하는 법, 그리고 void형 함수와 void가 아닌 함수의 차이점을 알아볼 것이다. 1. 기본 정의 방법 /* 함수 타입 함수명(매개변수){ 실행 코드 return 0; } */ void a() { for(int i = 0; i <.. 2022. 6. 23. [HTML/CSS] 노멀라이즈(normalize) [HTML/CSS] 노멀라이즈(normalize) : 브라우저 간 유저 에이전트 스타일의 오차를 줄이고 HTML 요소의 기본 스타일을 브라우저 별이 아닌 공통으로 일관되게 유지하도록 돕는 CSS 파일이다. 버그만 줄이는 방향으로 스타일을 재지정하는 것. body에는 기본 css가 설정되어 있다. body에는 기본 css가 설정되어 있다. 마진, 패딩의 기본값은 0으로 들어가있으며, width 등이 auto로 설정되어 있다. 태그 별로 문서 시작 전에 노멀라이즈를 해주는 것이 좋다. 공통적으로 그 태그의 형식을 지정해주면 브라우저 별로 다르지 않게 형태가 나올 수 있으니 해주는 것이 좋다. 노멀라이즈 시 CSS 값 설정시 유의할 하나의 정보(노멀라이즈 내용은 아님) ++ auto와 직접 값 설정의 차이점 .. 2022. 6. 23. 이전 1 ··· 33 34 35 36 37 38 39 ··· 51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