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Web75

[Web] 인증(Authentication)과 인가(Authorization) [Web] 인증(Authentication)과 인가(Authorization) 인증과 인가는 일상생활 속에서도 많이들 듣는 개념이다. 인증은 본인인증, 성인인증 등의 용어에서 많이 보았을 것이다. 내가 '누구인지'를 확인하는 절차를 뜻하는 것으로 일상에서도 사용된다. 한편, 인가의 경우, 법률용어로 활용이 되기도 하는데, '학교 설립 인가', '국토교통부 장관 인가' 등 행정법 상의 용어로 많이 활용된다. 정확히 이야기하면, 행정기관이 어떤 사람이 하려는 행위를 OKay 해주어서 법적으로 효력이 있게 만들어주는 절차라는 뜻을 가진다. 어감에서도 드러나듯, 인증과 인가는 어떤 프로그램을 설계하는데 필요한 것이 아니라, 누군가와 소통을 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확인 절차'에 쓰이는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h.. 2022. 7. 31.
[Spring] Servlet Container [Spring] Servlet Container 서블릿 컨테이너를 알아보기 전에 복습해야 할 개념이 있다. 웹 서버 개념이다. 2022.07.07 - [IT 지식/Web] - [Web] 웹 서버 : apache, NginX, Tomcat [Web] 웹 서버 : apache, NginX, Tomcat [Web] 웹 서버 : apache, NginX, Tomcat 1. 웹이 우리에게 오기까지 HTML, CSS, JavaScript 등의 파일은 페이지를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문서들이다. 이 문서들은 클라이언트에 있는 것이 아니라, 그 정보를 저 masterpiece-programming.tistory.com 웹 서버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웹 서버는 웹페이지 리소스들을 서버 데.. 2022. 7. 29.
[Spring] Servlet과 Spring [Spring] Servlet과 Spring 1. 서블릿이란? 서버 어플리케이션 조각 -> Server Application Let -> Servlet 처음 웹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정적인 페이지로만 응답할 수 있었다. 웹 서버에 동적인 프로그램을 붙여서 페이지를 보여주는 것이 서블릿 방식이다. 1) 서블릿이 생겨난 이유 http 요청과 응답은 다음과 같다. //request GET /api/products HTTP/1.1 Content-Type: application/json User-Agent: PostmanRuntime/7.28.0 Accept: */* Postman-Token: abfcbcf8-9317-430c-86b9-c00020eb736e Host: localhost:8080 Acce.. 2022. 7. 27.
[Java] 내부 클래스와 익명 클래스 그리고 람다 [Java] 내부 클래스(Inner Class)와 익명 클래스(Anonymous class) 그리고 람다(Lambda) 1. 들어가며, 내부 클래스는 왜 필요한가? 하나의 클래스 안에서만 쓰이는 객체를 생성하고 싶을 때가 있다. 혼자 개발을 한다면 다른 곳에 구현을 한 번 하고 다른 클래스에서는 구현을 안하는 방법으로 사용하면 된다. 그렇지만, 2명, 3명, ... 100명이 개발을 같이 한다면...? 주석을 꼼꼼히 남기지 않는 한 그것을 다른 곳에서 구현하는 사람이 나타날 것이다. 그래서 단발적으로 사용하고, 확장할 필요가 없는 객체를 구현해야 할 때 내부클래스를 사용한다. 클래스의 메서드 안에서 구현을 하고 끝내는 내부클래스가 생겨난 것이다. 사용 이유 정리 1. 프로그램 안에서 일시적(단발적)으로 .. 2022. 7. 26.
[Spring] MVC Pattern [Spring] MVC Pattern 1. MVC란? 기초적인 동적 웹은 php 파일과 같이 한 형태의 파일 안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고, html을 구현하고 css를 구현하고 해서 나타낼 수가 있다. 하지만, 간단한 게시판 정도가 아니라 거대한 Naver, Daum과 같은 페이지를 관리해야 한다면? 요소와 기능들이 많아지고 구조가 이것저것 얽히면서 하나의 파일 안에 든 코드들이 난잡하게 되어 버린다. 거대해지고 복잡해질 때는 분리, 모듈화를 해주어야 한다. 하나의 모듈이 하나의 일을 하고 그것들이 합쳐져서 전체적 서비스로 보이게 해야 하는 것이다. 국가의 기능은 입법, 사법, 행정으로 나뉘듯이, 웹 사이트에서는 기능을 "Model, View, Controller"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Sprin.. 2022. 7. 26.
[Web] Web Request, Response(웹의 요청과 응답) [Web] Web Request, Response(웹의 요청과 응답) 웹이라는 단어는 인터넷을 사용하는 우리에게는 참 친숙한 단어이다. 웹 사이트, 웹 서버.... 그렇지만, 정확하게 웹이라는 단어의 의미와 뜻을 알고 있는가에 대해 반성을 해볼 필요가 있다. 웹(World Wide Web, WWW)은 인터넷을 지칭하는 개념이 아니다. 하위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컴퓨터와 컴퓨터를 연결하는 기술이 인터넷 기술이고, 웹은 그 인터넷 위에서 동작하는 서비스 중에 하나이다. 인터넷이라는 네트워크 인프라 위에서 동작하는 것이 웹 1. 웹의 존재 이유 그럼 웹은 왜 존재하는 것일까? 무엇을 위해 있는 기술일까? 팀 버너스리는 WWW의 창시자이다. 이 사람은 컴퓨터로 어떤 정보를 공유하고 싶은 마음이 있었다. 그렇.. 2022. 7. 25.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