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Server13

[Database] 물리적 데이터 모델링(Physical Data Modeling) [Database] 물리적 데이터 모델링(Physical Data Modeling) 실제 프로젝트에서는 물리적 데이터 모델링을 수행하는 경우는 드물다고 한다. 개념적인 부분에서 배경지식을 얻기 위해, 나중에 읽어볼 만한 글을 개인적으로 남기기 위해 본 포스팅을 진행한다. 아래의 글은 발췌한 글로 약간의 수정을 가하였다. 이 다음에는 정규화와 역정규화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물리적 데이터 모델링이란. 물리 데이터 모델이란 논리적 모델을 특정 데이터베이스로 설계함으로써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물리적인 스키마를 말한다. 데이터 모델의 엔터티와 서브타입은 논리적인 집합이며, 만약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로 설계한다면 이 단계에 와서 물리적인 테이블(Table)로 확정된다. 하나의 논리적 집합(엔터티 혹은 .. 2022. 8. 6.
[Database] 논리적 데이터 모델링(Logical Data Modeling) [Database] 논리적 데이터 모델링(Logical Data Modeling) 개념적 모델링 이후 이루어지는 단계이다. 개념적 모델링의 개념은 아래에 포스팅 되어 있다. 2022.07.29 - [IT 지식/Database] - [Database]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Conceptual Data Modeling) [Database]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Conceptual Data Modeling) [Database]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Conceptual Data Modeling) 1. 데이터 모델링이란? 앞의 글에서 예시를 든 치킨집 예시를 다시 살펴보자. 2022.07.27 - [IT 지식/Database] - [Database] 개발 세계에서 데.. masterpiece-programming.. 2022. 8. 5.
[SQL] SQL 기본 문법 [SQL] SQL 기본 문법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면 Structured Query Language를 무조건 알고 있어야 한다. 관계형 DB를 다루기 위해서 Oracle이든 MySQL이든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표준 언어이다. 하나를 배우면 열을 알 수 있는 언어라고 할 수 있겠다. 1. SQL 문법 분류 분류 설명 데이터 정의어(DDL) - 데이터를 정의하는 언어 - 테이블이나 관계의 구조를 생성하는 데 사용 - CREATE, ALTER, DROP, TRUNCATE 문이 있음. 데이터 조작어(DML) -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자료들을 CRUD(입력, 수정, 삭제, 조회)하는언어 - SELECT, INSERT, UPDATE, DELETE 문이 있다. - SELECT 문은 특별히 질의어(Query)라고 부른다... 2022. 7. 31.
[Database]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Conceptual Data Modeling) [Database]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Conceptual Data Modeling) 1. 데이터 모델링이란? 앞의 글에서 예시를 든 치킨집 예시를 다시 살펴보자. 2022.07.27 - [IT 지식/Database] - [Database] 개발 세계에서 데이터베이스란 무엇일까? 정말 치킨집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하고자 한다면, 어떤 과정을 거쳐야 할까? IT 지식 기반으로 생각하지 않아도, 우리는 어떤 카테고리, 어떤 기준을 가지고 치킨집의 정보를 분할할지를 직감적으로 떠올리게 된다. 또한 우리에게 필요한 정보를 기반으로 카테고리를 생각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우리가 필요한 정보가 "저렴한" 치킨집이라면, 그것만 알려면 항목으로 상호명과 메뉴, 가격만 있으면 된다. 그렇지만 저렴한 치킨집의 전화.. 2022. 7. 29.
[Database] 개발 세계에서 데이터베이스란 무엇일까? [Database] 개발 세계에서 데이터베이스란 무엇일까? 많은 사람들은 자기가 경험하지 못한, 잘 알지 못하는 새로운 것을 볼 때, "저게 뭐야?" "이건 또 뭐야?" 의문을 가진다. (돌고래도 호기심 많은 동물 중에 하나라고 한다.) 어떤 개념이나 기술을 배울 때, 우리는 그것에 대한 추상적인 정의를 이해하고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그것이 무엇에 쓰이는 것인지, 어떤 것과 비슷한 것인지, 어떤 형태를 하고 있는지, 즉, 용도와 개념 비유, 물리적 외형을 알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데이터베이스를 처음 배우는 사람이라고 한다면, DB가 무엇에 쓰이는 지, 무엇과 비슷한지, 어떤 형태를 하고 있는지는 알고 있어야 그다음의 깊은 개념인 논리적 데이터 모델링, 관계형 DB, ... 등등을 이해할 수 있.. 2022. 7. 27.
zsh, bash 그리고 shell script zsh, bash 그리고 shell script 쉘은 리눅스에서 명령어와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사용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커널과 사용자 사이에 위치하면서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받아 그것을 해석하고 프로그램을 돌려주는 아주 고마운 친구이다. 쉘은 커널에서 분리된 별도의 프로그램이어서 다양한 종류의 쉘이 존재한다. 각각의 쉘 들은 제공하는 기능이 살짝식 다르다. 1) bash(배쉬) 리눅스의 표준 쉘이다. 우분투와 페도라도 배쉬 쉘을 사용한다고 한다. sh(Bourne Shell, 유닉스 쉘의 오리지널)을 전신으로 두고 있어서 sh와 호환되어 쓰일 수 있다. 맥 OS X, 그리고 윈도우에도 이식이 되었으며 mac의 경우 최근 기본 제공을 zsh로 하고 있다. 배쉬는 프로그래밍 언어이긴 하지만, 유닉스 운영체제의.. 2022. 6. 28.
728x90